“퇴근 후 한 잔 하고 전동킥보드를 탔을 뿐인데, 형사처벌 대상이라고요?”
2025년 6월, 일상 속 음주 습관이 형사처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법이 바뀌었습니다.
📚 목차
📌 개정 도로교통법의 정식 명칭과 시행일은?
이번 개정안의 정식 명칭은 「도로교통법 일부개정법률」입니다. 이 개정안은 2025년 6월 1일부터 본격 시행되며, 그동안 음주운전 중심의 교통법규 적용에서 ‘음주 상태의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’까지 처벌 대상이 확대되는 중요한 변화입니다.
📅 시행일 핵심 요약
2025년 6월 1일부터 적용되는 개정 도로교통법은 ‘술타기’ 행위까지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는 새로운 기준을 포함합니다.
다음달부터 '술타기 꼼수' 처벌…음주운전 무관용 원칙
음주운전 사고를 낸 뒤 음주 측정을 방해하기 위해 또 술을 마시는 이른바 '술타기 꼼수'에 대한 처벌이 다음달부터 이뤄집니다. 경찰은 사법 방해 행위를 엄단하겠다는 방침입니다. 나경렬 기
n.news.naver.com
🚨 '술타기 처벌법'의 핵심 내용은 무엇인가요?
이번 개정은 단순한 법률 문구 변경을 넘어, 도로교통 안전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전환점으로 평가됩니다. 특히 ‘술타기’는 음주 상태에서 자전거, 전동킥보드 등 운전면허가 필요 없는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행위도 포함됩니다.
※ 특히 청소년과 대학생 사이에서 많이 사용되는 전동킥보드가 포함되며, 미성년자도 형사책임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다음달부터 '술타기 꼼수' 처벌…음주운전 무관용 원칙
음주운전 사고를 낸 뒤 음주 측정을 방해하기 위해 또 술을 마시는 이른바 '술타기 꼼수'에 대한 처벌이 다음달부터 이뤄집니다. 경찰은 사법 방해 행위를 엄단하겠다는 방침입니다. 나경렬 기
n.news.naver.com
⚖️ 형사처벌 기준과 실제 적용 사례
술을 마신 후 자전거나 전동킥보드를 이용한 경우, 이제는 단순 경고가 아닌 형사처벌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 혈중알코올농도 0.03% 이상이면 적발 즉시 음주운전으로 간주되며, 반복 위반 시 형사기록이 남게 됩니다.
📍 실제 적용 사례
2024년 12월, 서울 강남에서 대학생 A씨는 새벽 2시경 전동킥보드를 타다 경찰에 적발되었습니다. 측정 결과 혈중알코올농도는 0.043%로, 현장에서 벌금 30만원에 약식기소 처분을 받았습니다.
- 초범: 벌금 20만~50만원 선
- 재범: 최대 1년 이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 벌금
- 사고 발생 시: 민·형사상 책임 병행
※ 경찰은 형사처벌 외에도 보호관찰, 음주운전 교육 이수 명령 등 부가적 행정처분도 병행할 수 있습니다.
🛴 음주 전동킥보드도 처벌 대상? 헷갈리는 사례 정리
많은 분들이 “전동킥보드는 자동차가 아닌데 왜 음주운전?”이라고 묻습니다. 그러나 도로교통법 제44조 제1항은 ‘모든 차 또는 노상에서의 운전’을 규정하고 있어, 전동킥보드 또한 해당 범위에 포함됩니다.
🧩 혼동하기 쉬운 사례
- 음주 후 킥보드 주차 이동도 이용 간주 → 적발 대상
- 보도 위 주행 역시 단속 가능 (보도도 도로에 포함)
- 면허 없이 전동킥보드 탑승 → 무면허+음주 이중 위반
⚠️ “잠깐 탔을 뿐”이라는 말은 면책 사유가 아닙니다. 경찰은 이동 거리와 관계없이 음주 상태 확인 후 즉시 단속합니다.
🛡 전문가가 알려주는 예방법과 주의사항
‘술 한잔 후 이동’이 형사처벌로 이어지는 시대, 어떻게 예방해야 할까요? 교통법 전문가이자 블로거로서, 다음과 같은 간단한 체크리스트를 제안드립니다.
✅ 술타기 처벌 예방법 체크리스트
- 음주 후 이동 시 택시·대리운전 활용
- 전동킥보드 앱에 ‘음주 후 사용금지 알림’ 설정
- 술자리 동행자와 교대로 탑승하지 않기
- 음주운전 방지 알림 앱 사용 고려
- 지인 차량에 동승할 경우에도 안전벨트 착용 필수
❓ 자주 묻는 질문(FAQ)
측정 거부는 현행 음주운전과 동일하게 ‘측정거부죄’로 가중처벌되며, 최대 징역형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.
미성년자라도 원칙적으로 형사처벌이 가능하며, 보호처분 등 소년법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.
킥보드를 손으로 끌고 이동하는 행위는 '운전'으로 간주되지 않아 처벌 대상이 아닙니다. 단, 실제 발로 밀며 이동했다면 다릅니다.
외국인도 동일하게 도로교통법의 적용을 받으며, 처벌 시 출입국에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